국립부경대학교 | 공과대학자유전공학부

교수진 소개

교수사진

서용철전공길라잡이교수

2004.09. 日本 東京大學(The University of Tokyo) 토목공학과 공학박사(Ph.D.)
1999.02. 성균관대학교 토목공학전공 공학석사
1991.02. 성균관대학교 토목공학과 공학사

■ 경력 사항 

 

現 부산미래도시혁신재단 등기이사

現 부산지방국토관리청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現 부산광역시의회 인사위원회 위원

現 범부처통합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위원

現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심의위원회 위원

現 부산과학기술협의회 감사

前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BISTEP) 원장 ('21.10.26-'24.10.25 (3년))

前 국가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수립위원회 위원장

前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 부산광역시 위원

前 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특구위원회 위원

前 부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부위원장

前 사단법인 대한공간정보학회 회장학술논문편집위원회 위원장

前 사단법인 대한토목학회한국지리정보학회한국측량학회 학술논문편집위원회 위원

前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장대학통합재정위원장신산학융합본부장

前 부경대학교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링크플러스사업단사업단장 (교육부)

前 전국 산학협력선도대학 고도화사업단(LINC+) 단장협의회 회장(2017)

前 부경대학교 산학연협력단지조성사업(URP+사업단사업단장 (교육부)

前 부경대학교 대학일자리센터사업단장 (고용노동부)

前 부경대학교 지역산업맞춤형인재양성사업단장 (고용노동부)

前 부경대학교 기술사업화사업(TMC)사업단장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前 부경대학교 청년TLO육성사업단장 (과기정통부)

前 부경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장

前 부산광역시 비지니스서비스산업 특화구역지원사업단장

前 부산광역시 드래곤밸리 청년일자리지원사업단장

前 국토부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전문위원국가공간정보유통협의회 위원

前 과기정통부 차세대중형위성개발 산업분과 위원

前 부산광역시경상남도울산시 건설기술심의위원 및 도시계획위원

前 국방부 학사장교 18기 육군공병 중위 전역

 

 

■ 수상 실적

 

2014.08. 정부포상. 국무총리 표창, 공간정보산업발전공로

2023.06. (사)대한공간정보학회 공로상

2020.06. (사)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상

2017.10. (사)한국지리정보학회 학술상

2017.01. (사)한국측량학회 논문상

2016.10. (사)한국지리정보학회 공로상

2012.01. (사)한국측량학회 학술상

2011.12. 국토해양부 장관표창 국가공간정보학 교육발전 공로

2011.05. (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상

2010.03. 2009년도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최우수연구교수상 수상

2009.09. (사)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우수논문상

2009.04. (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우수논문상

2009.01. (사)대한토목학회 우수논문상

2008.10. 국토해양부 장관표창 공간정보학 발전공로

2008.05. (사)한국측량학회 우수논문상

2007.10. (사)한국지리정보학회 우수논문상

2004.09. Best Presentation Award, ION GNSS 2004 

2004.06. 일본측량협회 The Award of Surveying Technology

2003.10. 건설교통부 장관상 최우수논문상

2003.09. Best Presentation Award, ION GNSS 2003

2002.11. Best Speaker Award, 2002 ACRS(Asia Conference on Remote Sensing)

2002.07. Best Poster Award, 2002 Japan Geoinfomatics Forum, Japan Association of Surveyors

2001.02. 일본 문부과학성 국비유학생 선발 (일본 동경대학 국비유학)

1991.12. 육군참모총장상. 육군학사장교 18기 임관식 표창장

연구분야
 

■ 전공분야 공간정보학(Geoinformatics) 


공간정보(Geospatial Information)는 지표, 지하, 해양, 대기 및 구조물의 지리적 위치, 높이, 형상, 범위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데이터와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특성을 포함하는 속성 데이터로 구성된다. 공간정보학은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하고, 그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 딥러닝, 기계학습(ML) 등 최신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처리하여 분포, 배치, 인접관계 등의 공간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시각화하거나 종합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공간정보학의 고유 기술인 지리정보시스템(GIS), 토지정보시스템(LIS), 측량,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사진측량, 원격탐사 등을 이용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공간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과 융합하여 지리학, 토목공학·건설공학, 건축학, 도시공학, 농학, 임학, 지질학, 환경과학, 도시·지역경제학, 해양학, 기상학, 전자통신공학, 기계공학 등의 응용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기술(GT: Geospatial Technology)은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과 함께 3대 핵심 융합기술로 주목받으며, 국내외 시장 및 전문인력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 전공분야 측지측량 및 GNSS (Geodesy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지측량(Geodesy)은 지구의 형상과 크기, 중력장과 그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밀한 공간정보 구축의 핵심 기초를 형성한다. 또한 기준 좌표계 설정, 지각 변동 모니터링, 정밀 위치결정(Positioning)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실시간 및 정밀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GPS(미국), GLONASS(러시아), Galileo(유럽), BeiDou(중국) 등의 위성항법 시스템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다주파 GNSS, RTK(Real-Time Kinematic),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등 고정밀 측위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측지측량 및 GNSS 연구에서는 최신 GNSS 기술과 관성항법장치(INS), 레이저 스캐닝, 위성 중력측정(Satellite Gravimetry) 등 다양한 정밀 측량·항법 센서를 활용하여 고정밀 좌표 참조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며 국가 기준점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밀 측량 오차 모델링을 연구한다. GNSS 연속관측(CORS) 네트워크 및 InSAR(위성 간섭 측정)을 이용하여 지각 변위 분석과 지진 활동을 감시하며 지진 및 지반 침하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 전리층 및 대류층 영향, 다중경로(Multipath) 효과 등 GNSS 신호 오차 요소를 분석하고 고정밀 GNSS 측위를 위한 RTK, PPP, 네트워크 RTK(Network RTK) 등의 보정 기술을 연구한다. GNSS와 INS 융합 기술을 이용한 무인 이동체(드론, 자율주행차, 로봇 등) 정밀 내비게이션 및 항법 개발을 수행하고 실내외 고정밀 위치추적(Positioning) 및 실시간 동적 객체 추적 시스템을 구축한다. 극지방 대기 및 지구 상호작용 연구를 수행하고 GNSS 기반 조위(水位) 변동 모니터링을 통해 해양운송 및 항로 최적화 기술을 개발한다. GRACE, GRACE-FO, GOCE 등의 위성 중력 자료를 활용하여 지구 중력장 변화를 분석하고 해수면 상승 및 지구 기후 변화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측지 및 GNSS 기술(Geodesy and GNSS Technology)은 스마트시티, 재난안전, 지진 모니터링, 자율주행, 해양 및 극지 연구, 정밀 농업, 국방·항공우주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으며 고정밀 측위 및 공간정보 활용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내외 시장 및 전문인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지형공간정보학.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Geoinformatics)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is a core discipline that integrates advanced spatial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analysis techniques. This course cover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geospatial technology, including remote sensing, photogrammetry, spatial databases, and geospatial artificial intelligence (GeoAI). Students will learn how geospatial big data is used in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monitoring, disaster management,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 course explores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geospatial machine learning, LiDAR, and digital twin modeling to prepare students for smart city development and geospatial analytics roles.

지형공간정보학은 첨단 공간 데이터의 수집관리 및 분석 기술을 통합하는 핵심 학문입니다본 강의에서는 원격탐사(Remote Sensing), 사진측량(Photogrammetry), 공간 데이터베이스지리공간 인공지능(GeoAI) 등의 이론적 기초와 실무적 응용을 다룹니다학생들은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계획환경 모니터링재난관리인프라 개발 등의 적용 사례를 학습하게 됩니다또한 지리공간 머신러닝, LiDAR(라이다), 디지털 트윈 모델링과 같은 최신 기술을 탐구하며스마트시티 개발 및 공간정보 분석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습합니다.

 

■ 위성측위학.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is course delves into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 critical technology for high-precision positioning and navigation. Students will study the principles of satellite orbits, signal processing, geodetic datums, coordinate systems, and error correction techniques. Advanced topics include real-time kinematic (RTK) GNSS, precise point positioning (PPP), GNSS augmentation systems, and applications in autonomous systems.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gain expertise in high-precision geospatial applications, such as land surveying, earthquake monitoring, aviation navigation,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본 강의에서는 GNSS(위성항법시스템)의 원리와 고정밀 측위 및 항법 기술을 학습합니다학생들은 위성 궤도신호 처리측지 기준 좌표계오차 보정 기법 등의 이론을 익히고실시간 이동 측위(RTK GNSS), 정밀 단독 측위(PPP), GNSS 보정 시스템 및 자율주행 응용과 같은 고급 주제를 다루게 됩니다이 강의는 고정밀 측위 기술을 활용한 토지측량지진 모니터링항공 및 해양 내비게이션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등의 응용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 지리정보공학. Geographic Information Engineering (GIS)

This course provides an in-depth explo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s a decision-making tool in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science, and civil engineering. Students will develop expertise in spatial data models, topological relationships, geospatial database management, and GIS programming. The course covers spatial analytics, network analysis, and geostatistical modeling, along with AI-driven GIS applications. Practical case studies include flood risk assessment,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and land-use planning, equipping students with advanced GIS problem-solving skills.

본 강의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개념과 응용을 깊이 탐구하며도시계획환경공학토목공학 분야에서 GIS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학습합니다학생들은 공간 데이터 모델위상 관계 분석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GIS 프로그래밍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공간 분석네트워크 분석지통계(Geostatistics) 모델링을 다루게 됩니다또한 AI 기반 GIS 기술과 함께 홍수 위험 평가인프라 자산 관리토지 이용 계획 등의 실무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 해결 역량을 기릅니다.

 

■ 측량학 및 실습. Surveying and Practicum

Surveying is a fundamental aspect of civil engineering, and this course provides both theoretical knowledge and hands-on experience in land measurement techniques. Students will study the principles of geodetic and plane surveying, leveling, total station operations, GNSS-based surveying, and photogrammetric techniques. Practical sessions focus on field measurements, data processing, and digital terrain modeling (DTM). Th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professional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surveying, infrastructure monitoring, and cadastral mapping.

측량학은 토목공학의 기초적인 학문으로본 강의에서는 측지 및 평면측량의 이론적 개념과 실습 경험을 함께 제공합니다학생들은 수준측량(Leveling), 토탈 스테이션(Total Station) 운용, GNSS 기반 측량사진측량 기법 등을 학습하며실습을 통해 현장 측량데이터 처리디지털 지형 모델(DTM) 작성 등을 수행합니다본 강의는 건설 측량인프라 모니터링지적(地籍측량과 같은 실무적 응용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토목전산제도. Civil Engineering Computer-Aided Design (CAD)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computer-aided design (CAD) applications in civil engineering, with a focus on 2D drafting and 3D modeling for infrastructure projects. Students will gain proficiency in AutoCAD, Civil 3D,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software, learning how to create technical drawings, structural plans, and digital terrain models. The course emphasizes CAD-based engineering design workflows, including site planning, roadway design, hydrological modeling, and structural detailing.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students will develop industry-ready CAD skills for civil engineering design and construction documentation.

본 강의에서는 토목공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CAD(Computer-Aided Design) 기술을 학습하며, 2D 도면 작성 및 3D 모델링 기술을 익히게 됩니다학생들은 AutoCAD, Civil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기술 도면구조 설계디지털 지형 모델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합니다또한 CAD 기반 설계 프로세스부지 계획(Site Planning), 도로 설계수리 모형 분석구조물 상세 설계 등의 실무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설계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합니다. 

학술지 (Journal) 논문


Comparative Analysis and Visual Interpretation of YOLO Models for Rip Current Detection. 2024.12.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Fish Catches by Species and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 in Coastal Waters of the Republic of Korea. 2024.07.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CI논문


Safety Rating Evaluation Method to Manage the Baseline Point Facilities in Korea. 2024.07.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CI논문


Indoor and Outdoor Building Modeling Based on Point Cloud Data Convergence using Drones and Terrestrial LiDAR. 2023.06., 한국측량학회 (SCOPUS논문 

 

해수에 노출된 슬래그 시멘트의 장기 상변이 열역학 모델링. 2021.10.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Thermodynamic Modeling of Long-Term Phase Development of Slag Cement in Seawater. 2021.0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CycleGAN을 활용한 항공영상 학습 데이터 셋 보완 기법에 관한 연구. 2020.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현장 취득 공간정보를 적용한 도로 주변 사면붕괴 원인 분석 및 사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책방안 수립. 20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해양환경교육 프로젝트를 통한 대학의 지역사회공헌참여 학생설문조사에 기초한 사례 연구. 2020.09., 수산해양교육연구

 

Changes in Permeability and Benthic Environment of Coastal Sediment based on Calcium Salt Supplier. 2019.08.,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CI논문)

 

Variability of the annual amounts of station precipitation revealedby autocorrelation functions and power spectra. 2018.09., Boletin Geoologico y Minero (SCOPUS논문)

 

수치표고모델 해상도에 따라 도출된 춘천지역의 지형학적 매개변수 비교. 2018.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DETERMINATION OF VERTICAL DATUM LEVEL FOR TIDAL BENCH MARK USING GNSS BUOY OBSERVATIONS. 2017.12.,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Taiwan(SCI논문)

 

3차원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활용한 일조 시간 산정. 2017.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Evaluation of Nautical Chart Adequacy in the Coastal Area around Incheon Bay using Satellite Imagery with AIS Data. 2017.04.,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CI논문)

 

Development of Realtime GRI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High Precision Streaming Data. 2016.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연안 해저 재질 분석을 위한 초분광영상의 보정 방법. 2016.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Detection of Seabed Rock using Airborne Bathymetric Lidar and Hyperspectral Data in the East Sea Coastal Area. 2016.0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정밀 지오이드 및 조석모델을 활용한 안면도 지역의 높이기준면 변환연구. 2016.0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A Study of the Method for Building up 3D Right Objects. 2015.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The Fine Power Spectra of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and Its Components and their Implication. 2015.09., 대기(Atmosphere)

 

Rip Current Research Using a CCTV Image Analysis Including Swimmer Detecting Techniques at Haeundae Beach, Korea. 2014.12.,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CI논문)

 

Economic Analysis of Beach Safety Level on the Contingent Valuation in Haeundae Beach. 2014.12.,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CI논문)

 

도시 공간특성과 Walkability Index의 상관성에 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부산광역시 2개구를 대상으로-. 2014.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부산시 역세권 TOD계획요소의 공간특성과 지하철 이용객 수의 상관성에 관한 실증연구. 2014.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수질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서 항공 초분광영상의 가용성 고찰. 2014.02.,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서브 미터급 위성영상을 이용한 1:2,500 수치지형도 제작에 관한 연구. 2013.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차연산과 분광미분을 이용한 항공 초분광영상의 식생지수 산출 적절밴드 선택. 2013.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장수 인구의 분포 패턴에 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과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 문제(MAUP) Scale Effect에 관한 연구. 2013.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GIS 기반의 미더덕 SFG(Scope for Growth)를 이용한 양식장의 적지선정. 2013.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분광각매퍼 기법을 적용한 항공기 탑재 초분광영상의 소규모 녹지공간 탐지. 2013.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Frequent Unscheduled Updates of the National Base Map Using the Land-Based Mobile Mapping System. 2013.05., Remote Sensing (SCI논문)

 

스마트폰과 Google Earth를 이용한 TS 측량 및 가시화 안드로이드 앱 개발. 2013.04.,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영상정보와 지적정보에의 융복합에 의한 영상응용지적도 개발. 2012.12.,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3차원 도로면 수치 모델링을 위한 최적 필터링 방법의 적용. 2012.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산림지역의 항공기 탑재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에 대한 식생-Endmember와 식생지수의 상관 분석. 2012.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장수의 환경생태학적 요인에 관한 지리가중회귀분석. 2012.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Development of an RTK-GPS Positioning Application with an Improved Position Error Model for Smartphones. 2012.09., Sensors (SCI논문)

 

Transformation Model of Vertical Datum between Land and Ocean Height System using the Precise Spirit Leveling Results. 2012.0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Development of Soil Compaction Analysis Software (SCAN)Integrating a Low Cost GPS Receiver and Compactometer. 2012.02., Sensors (SCI논문)

 

모바일 기반의 증강현실지적도 구현에 관한 연구. 2011.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일본 Tohoku-Oki 대지진으로 인한 한국 및 아시아 지역 상시관측소의 위치변동량 분석. 2011.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2011.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국가기본도 수정을 위한 지상모바일매핑시스템의 위치정확도 향상. 2011.12., 지적학회지

 

RTK-GPS와 가속도계 통합계산을 통한 구조물의 변위 해석. 2011.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벡터기반 대시매트릭 기법을 이용한 소지역 장수인구 추정 및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2011.0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mparison between FFT and LSC Method for the Residual Geoid Height Modeling in Korea. 2011.0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GIS Mapping of Tsunami Vulnerability : Case Study of the Jembrana Regency in Bali, Indonesia. 2011.0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의 탄소 흡수량 측정. 2011.0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래스터 데이터의 지도대수 분석을 위한 GRASS 기반의 웹 시스템 개발. 2010.12.,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고정밀 LiDAR DEM을 이용한 토공량 계산 프로그램 개발. 201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항공라이다 DEM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 일원의 GIS 기반의 토석류 발생가능성 분석. 201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WebGIS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지리공간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개발. 201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지도 구현. 2010.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구글어스와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기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2010.0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개별 여행자를 위한 관광 순회 일정 안내 방법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2010.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GIS기반의 토석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2010.0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스트리밍 방식을 이용한 대용량 DEM 프로세싱 프로그램의 개발. 2009.12.,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GIS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2009.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고해상도 항공라이다 DEM 해석을 통한 강원도 일원의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석. 2009.11., 한국GIS학회지

 

Web 2.0 기반 국가기준점 어플리케이션 설계. 2009.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변화탐지 분석 기법 연구. 2009.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도시 재개발이 도시 지역 상세 대기 흐름에 미치는 영향. 2009.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2009.03.,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Real-Time Terrain Visualization with Hierarchical Structure. 2009.0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u-기반 단말기를 위한 지적전산파일의 설계. 2008.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WEB GIS시스템을 통한 고해상도 영상지도의 속도향상을 위한 연구. 2008.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A GIS-based Simulation to Predict GPS Availability along the Tehran Road in Seoul, Korea. 2008.11.,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A simulation system for GNSS multipath mitigation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s. 2008.11., Computers & Geosciences (SCI논문)

 

기준점 관리를 위한 온톨리지 모델링과 적용 방안. 2008.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RFID기반 기준점 형태 및 제공정보 관련 선호도 연구. 2008.06., 지적학회지

 

우리나라와 일본의 국가 GIS 추진전략 및 유비쿼터스 정책 비교분석. 2008.06.,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006년 우리나라 1등 수준망 조정. 2008.0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Ajax GIS Application for GNSS Availability Simulation. 2007.11.,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자동 생성 기법의 개발. 2007.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Evaluation of Satellite-Based Navigation Services in Complex Urban Environments Using a Three-Dimensional GIS. 2007.07., IEIC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SCI논문)

 

통합 GNSS 환경에서 도시공간 위성측위의 가용성 평가 시뮬레이션. 2007.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Effects of the 11-year solar cycle on the Earth atmosphere revealed in ECMWF reanalyses. 2006.12.,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SCI논문)

 

Evidence of an 11-Year Solar Cycle of Tropical 150-hPa Geopotentail Height, Temperature, and Wind. 2006.06., 한국기상학회지

 

An Adjustment for a Regional Incongruity in Global Land Cover Map:case of Korea. 2006.06., 대한원격탐사학회지

 

On the origin of the Tropical Atlantic Decadal Oscill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COADS.2006.05.,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SCI논문)

 

Building DSMs Generation Integrating Three Line Scanner (TLS) and LiDAR. 2005.07.,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 탐지에 관한 연구 : 포락지 중심으로. 2005.06.,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다중빔 음향측심기 수심 정확도 개선. 2005.03., 대한원격탐사학회지

 

Development of PKNU3 : A small-format, multi-spectral, aerial photographic system. 2005.03., 지적학회지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고속 측지계 변환 모델 연구. 2004.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차원 다중기선을 사용한 비데오 영상 모자이크 기술. 2004.06.,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동적계획법과 적응 비용 변환을 이용한 영상 모자이크 seam-line 결정. 2004.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Automatic Delineation of Sky View in Urban Canyons by 3-Dimemsional GIS. 2004.0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SCI논문)

 

GIS 데이터 취득을 위한 위성측위 환경의 실험적 평가. 2003.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A Simulation based Assessment for evaluation the effectiveness of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2003.06., 대한원격탐사학회지

 

Assessment of Pseudolite Layout under Environments using a Simulation System for Seamless Positioning. 2003.05., 대한원격탐사학회지

 

High Accurate and Efficient Positioning in Urban Areas using GPS and Pseudolites Integration. 2002.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저서 및 역서

 

GNSS 측량의 기초 (20113대한측량협회 발행, ISBN 978-89-95325667 

 

GPS 이론과 응용 (2009년 3), 시그마프레스 발행, ISBN 978-89-5832-590-1 

 

항공레이저측량의 이론과 실습 (2009년 5), 대한측량협회 발행 ISBN 978-89-953256-5-0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국가GIS 전략 연구(2007.12), 국토연구원 ISBN 978-89-8182-491-4 

 

방재지도의 기초와 응용 (2007년 6), 대한측량협회 발행 ISBN 89-953256-4-3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한 한일 국가GIS 추진전략 비교연구(2006.6), 국토연구원 ISBN 978-89-8182-466-5 

 

GPS 측량의 기초 (2004년 6), 대한측량협회 발행, (일본측량협회 출판) ISBN 89-953256-1-5  

 

 

지식재산권

 

日本특허공개번호: 特開 2006-90912(P2006-90912A)

출원번호: 特願2004-278649(P2004-278649)

출원일: 2004.09.27.  공지일: 2006.04.06

발명의 명칭: 測位配信、情報配信置、測位方法及び情報配信方法


국내특허 출원(등록)번호 : 10-2002-0067335

지구 측위 위성 시스템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2002.11.

특허내용 :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활용에 있어서 그 이용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

 

국내특허 출원(등록)번호 : 2009-01-183-001689

웹 GIS 기반 기준점 검색 프로그램. 2009.04.


국내특허 출원(등록)번호 : 2009-01-183-001688

웹 GIS 기반 기준점 성과표 검색 프로그램. 2009.04.

 

국내특허 출원(등록)번호 : 2009-01-183-003628

모바일 기준점 관리 시스템. 2009.07.

연구분야
 

■ 전공분야 공간정보학(Geoinformatics) 


공간정보(Geospatial Information)는 지표, 지하, 해양, 대기 및 구조물의 지리적 위치, 높이, 형상, 범위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데이터와 자연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특성을 포함하는 속성 데이터로 구성된다. 공간정보학은 공간정보 빅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하고, 그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 딥러닝, 기계학습(ML) 등 최신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처리하여 분포, 배치, 인접관계 등의 공간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시각화하거나 종합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공간정보학의 고유 기술인 지리정보시스템(GIS), 토지정보시스템(LIS), 측량,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사진측량, 원격탐사 등을 이용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인 공간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과 융합하여 지리학, 토목공학·건설공학, 건축학, 도시공학, 농학, 임학, 지질학, 환경과학, 도시·지역경제학, 해양학, 기상학, 전자통신공학, 기계공학 등의 응용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기술(GT: Geospatial Technology)은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과 함께 3대 핵심 융합기술로 주목받으며, 국내외 시장 및 전문인력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 전공분야 측지측량 및 GNSS (Geodesy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지측량(Geodesy)은 지구의 형상과 크기, 중력장과 그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밀한 공간정보 구축의 핵심 기초를 형성한다. 또한 기준 좌표계 설정, 지각 변동 모니터링, 정밀 위치결정(Positioning)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실시간 및 정밀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GPS(미국), GLONASS(러시아), Galileo(유럽), BeiDou(중국) 등의 위성항법 시스템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다주파 GNSS, RTK(Real-Time Kinematic),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등 고정밀 측위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측지측량 및 GNSS 연구에서는 최신 GNSS 기술과 관성항법장치(INS), 레이저 스캐닝, 위성 중력측정(Satellite Gravimetry) 등 다양한 정밀 측량·항법 센서를 활용하여 고정밀 좌표 참조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며 국가 기준점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밀 측량 오차 모델링을 연구한다. GNSS 연속관측(CORS) 네트워크 및 InSAR(위성 간섭 측정)을 이용하여 지각 변위 분석과 지진 활동을 감시하며 지진 및 지반 침하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 전리층 및 대류층 영향, 다중경로(Multipath) 효과 등 GNSS 신호 오차 요소를 분석하고 고정밀 GNSS 측위를 위한 RTK, PPP, 네트워크 RTK(Network RTK) 등의 보정 기술을 연구한다. GNSS와 INS 융합 기술을 이용한 무인 이동체(드론, 자율주행차, 로봇 등) 정밀 내비게이션 및 항법 개발을 수행하고 실내외 고정밀 위치추적(Positioning) 및 실시간 동적 객체 추적 시스템을 구축한다. 극지방 대기 및 지구 상호작용 연구를 수행하고 GNSS 기반 조위(水位) 변동 모니터링을 통해 해양운송 및 항로 최적화 기술을 개발한다. GRACE, GRACE-FO, GOCE 등의 위성 중력 자료를 활용하여 지구 중력장 변화를 분석하고 해수면 상승 및 지구 기후 변화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측지 및 GNSS 기술(Geodesy and GNSS Technology)은 스마트시티, 재난안전, 지진 모니터링, 자율주행, 해양 및 극지 연구, 정밀 농업, 국방·항공우주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으며 고정밀 측위 및 공간정보 활용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내외 시장 및 전문인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